조선시대 유학자 송시열(1607-1689) 글 쓴 바위다.
우암 송시열은 숙종과 장희빈 사이에 난 아들(나중의 경종)의 왕세자 책봉에 반대하여
제주도 유배 길에 오른다.
그는 이곳 보길도에서 잠시 쉬면서 임금에 대한 서운함과 그리움을 시로 읊어
바위에 새겨놓은 것이라고 한다.
83세의 늙은 이 몸이
거칠고 먼 바닷길을 가노라
한마디 말이 어째 큰 죄가 되어
세 번이나 쫓겨 가니 신세가 궁하구나.
북녘 하늘 해를 바라보며
남쪽바다 믿고 가느니 바람뿐이네.
초구에 옛 효종의 은혜 서려 있어
감격한 외로운 속마음 눈물 지우네.
八十三歲翁(팔십삼세옹)
蒼波萬里中(창파만리중)
一言胡大罪(일언호대죄)
三黜亦云窮(삼출역운궁)
北極空瞻日(북극공첨일)
南溟但信風(남명단신풍)
貂裘舊恩在(초구구은재)
感激泣孤衷(감격읍고충)
세원정에서 이곳까지 거리는 약 10km이다. 송시열 선생님의 위상에 맞지않게 가는길이 좋지 않았다. 딸랑이거~할정도로 바위에 쓴글은 허무하지만
바위에 세긴 글의 뜻은 역사적인 의미와 함께 훌륭하게 느껴졌다. 다도해를 바라보는 전망또한 아름다웠다.
바위를 밀어버려~ 참아야제^^
숙소인 노화도로 다시 돌아오는길에 한적한 바닷가에서 간식과함께 휴식을 취했다.
여름에 한번 다시 찾고싶다.
'◈섬여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◆(3) 땅끝마을 전망대 (0) | 2008.03.14 |
---|---|
◆(4) 보길도 윤선도유적지,,,세연정 (0) | 2008.03.14 |
◆(6) 땅끝마을에서 땅끝탑 가는길(2008-03-09) (0) | 2008.03.14 |
◆(7) 땅끝 해양 자연사 박물관 (0) | 2008.03.14 |
◆(8) 완도 청해포구 촬영장 (0) | 2008.03.11 |